본문 바로가기
Python

파이썬 기초 6편(for문)

by 스터디립트 2022. 3. 16.

1. 시작하며

저번 시간에는 조건을 이용하는 if문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여러 반복문들 중에 for문에 대해서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 if문에 대해서 궁금하신 분은 아래 글을 확인해주세요

 

2022.03.15 - [Python] - 파이썬 기초 5편(if문)

 

 

 

 

2. for

파이썬을 프로그래밍 하다보면, 같은 구문을 여러번 반복해야 할 때가 있습니다. 그중에서 for문은, 특정한 규칙으로 변하는 변수를 이용하는 반복문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2-1. 기본 for

예를 들어서 1부터 1000까지의 수를 차례대로 출력해야 하는 경우에 for문을 사용하기에 매우 적합합니다. 아래는 그 코드입니다.

 

for num in range(1,1001):
	print(num)
결과:

1
2
3
4
...
1000

 

range함수는, 앞의 값 이상, 뒤의 값 미만의 정수를 반환합니다. num이라는 값에 1부터 1000까지의 값을 하나씩 차례로 넣어 반복해서 출력하는 구문입니다. 결과를 보면 1부터 1000까지 제대로 잘 출력된것을 볼 수 있습니다.

 

꼭 숫자가 아니어도 리스트, 튜플 등의 형태이기만 한다면 for문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for text in ["가","나","다","라"]:
	print(text)

print()
for text in ("나","다","라","가"):
	print(text)
결과:

가
나
다
라

나
다
라
가

 

2-2. 한줄 for

for문은 위와 같이 2줄 이상으로 대부분 사용합니다. 하지만 한줄로 구문의 길이를 줄여서 사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서 1부터 1000까지의 자연수들이 들어있는 리스트에서 모든 값에 루트를 씌운 리스트를 만들고 싶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아래는 그 코드입니다.

from math import sqrt

nums = [sqrt(n) for n in range(1,1001)]
print(nums)
결과:
[1.0, 1.4142135623730951, 1.7320508075688772, 2.0, ... , 31.606961258558215, 31.622776601683793]

구문을 분석해보자면, 기본적으로 nums의 값들은 sqrt(n), 즉 루트 n들의 값입니다. 그리고 그 n에 1부터 1000까지의 자연수들을 대입해서 리스트를 만든것입니다.

 

3. 마치며

이번 시간에는 반복문들 중 하나인 for문에 대해서 배워보았습니다. 다음 시간에는 또 다른 반복문들 중 하나인 while문에 대해서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 

 

 

댓글